3주차가 또 끝이 났다.
11.28(월) ~ 12.1(목) 동안은 Node.js 입문주차 개인 프로젝트와 팀 과제를 수행했다.
노드 입문주차동안은, 노드 환경에서 expres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기본적은 CRUD를 구현하였다.
- 개인 과제 - 게시판 포스팅/댓글 CRUD
- request.body에 대한 검증 처리를 모든 api에 반복해서 적지 않기 위해, 전역에 검증 함수를 하나 만들어 처리해 주었다.
- error의 경우도, 지정된 error 메세지와 status 번호를 내보내기 위해, customError class를 만들고, constructor 함수에 매번 필요한 http status 번호와 에러 메세지를 받아서 출력할 수 있도록 처리해주었다.
GitHub - jn33-dev/hanghae-week3
Contribute to jn33-dev/hanghae-week3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- [3주차] [20221128] REST API와 RESTful 아키텍처, HTTP PUT과 PATCH 차이점
- [3주차] [20221129] 에러 핸들링
- [3주차] [20221130] MongoDB 스키마 설계
- [3주차] [20221201] IP 주소와 port, 그리고 DNS
- [3주차] [20221201] Routing
- package.json : 프로젝트의 의존성 관리를 위한 명세 또는 배포를 위한 명세로 사용하는 문서
- 프로젝트가 의존하는 패키지의 리스트
- 프로젝트의 버전을 명시
- 다른 환경에서도 빌드를 재생 가능하게 만들어, 다른 개발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
- package.json의 자세한 구성 요소는 아래 명세 페이지를 참고
package.json | npm Docs
Specifics of npm's package.json handling
docs.npmjs.com
그리고 12.2(금) ~ 12.3(토) 동안은 Node.js 숙련주차로, jwt를 이용한 로그인, 회원가입 및 인증 시스템 만드는 법을 배우고 있으며, MySQL을 이용하여 node.js 개발 환경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용법도 배우는 중이다.
- [4주차] [20221203] jwt - refresh token 동작 시나리오, EADDRINUSE 에러
- [4주차][20221203] node.js에서 mySQL을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들 : Sequelize, Migration, Model
음... 이제 4주차에 접어들었는데, 생각보다 체력이 떨어진다..ㅎㅎㅎ
덕분에 집중력도 많이 저하되었는데, mySQL이 생가보다 강적이어서..(엉엉ㅜㅜ)
그래도 붙어 앉아서 하다 보면 이해가 가고, 잘 활용할 수 있게 되겠지..?? (이번주의 희망사항이다)
'항해99_10기 > 105일의 TIL & W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4주차] [20221206] thunder client에서 req.cookies 넘기기 (0) | 2022.12.06 |
|---|---|
| [4주차] [20221205] Joi validation & Sequelize를 이용한 mySQL 설정 (0) | 2022.12.06 |
| [4주차][20221203] node.js에서 mySQL을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들 : Sequelize, Migration, Model (0) | 2022.12.04 |
| [4주차] [20221203] jwt - refresh token 동작 시나리오, EADDRINUSE 에러 (4) | 2022.12.03 |
| [3주차] [20221201] Routing (1) | 2022.12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