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 배운 것
- git initializing : sourcetree에서는 newtab > create 버튼을 클릭해 프로젝트 폴더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생성된다.
- add / staging : commit 전 어떤 작업 파일을 커밋할 것인지 선택하는 과정. 이때, 여러 파일을 작업했다면, 하나씩 선택하여 add / staging 할 수 있다.
- commit : 커밋을 할 때는 커밋한 날짜와 시간, 작업자, 작업 내용을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커밋 메시지를 포함한다.
- remote repository 생성 그리고 로컬 레포지토리와 연결 : sourcetree 설정을 눌러 원격 탭에 github repository 주소를 복사하여 붙여 넣는다.
- push : local repository에서 커밋한 작업물을 remote repository에 올린다.
- pull : remote repository에서 바뀐 내용을 local repository에 반영한다.
- 꿀팁! 혼자 작업할 때는 항상 pull - commit - push 순으로 작업하면 conflict를 방지할 수 있음
- 만약 remote repo의 작업내용을 local로 가져오고 싶다면, clone을 통해 하면 된다.
오늘 만난 Error
sourcetree로 첫 push를 진행했는데, "credential helper selector"가 계속 떴다.
no helper를 선택하고 진행하면 또 팝업이 떠서, Always use this from now on을 클릭하고 넘어갔더니, authentication error 메세지가 뜨면서 remote repo에 push되지 않았다.
구글링을 통해 powershell에서 sourcetree git credential helper select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적용해 보았다.
다행히, 잘 작동을 했다.
자세한 해결 방법은 아래 블로그 글을 참고하면 좋고,
아예 이런 팝업을 본다면, 처음부터 manager를 선택해주면 해결 될 것같다.
만약, 나처럼 always use this from now on을 체크해서 더이상 팝업이 뜨지 않는다면...
윈도우 검색 > "powershell" 실행 > "cd $env:LOCALAPPDATA\Atlassian\SourceTree\git_local\mingw32\bin\" 입력하여 directory를 변경 > "./git.exe config --edit --system" 입력 > 나의 경우, vs code에서 configuration 창이 실행되었고, [credential] helper 옆에 "= manager"를 추가한 후 ctrl+s 단축키를 이용하여 저장해 주었다.
아래는 내가 참고한 블로그의 링크를 첨부
SourceTree 설치 후 CredentialHelperSelector가 자꾸 팝업 될 경우 해결 방법
!!!! 주의 : 윈도우 10에서만 작동이 보증되며 타 운영체제(특히 윈도우11)에서는 작동을 보증할 수 없습니다 요즘 자바를 한창 하고 있는데 git으로 파일을 관리 중이다. SourceTree라는 아주 좋은 관
lwk24.tistory.com
'항해99_10기 > 105일의 TIL & W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21110] 배열, for문 조건 속 논리 연산자 (0) | 2022.11.10 |
---|---|
[20221109] 숫자와 문자의 혼합형이 string 타입으로 저장되어 있을 때 숫자만 number로 변환하는 방법 (2) | 2022.11.09 |
[TIL - 20221108] if, if else if, switch (0) | 2022.11.08 |
[TIL - 20221107] `백틱 안에서 array loop 처리하기` (feat. array 메소드) (0) | 2022.11.07 |
[TIL - 20221107] prompt() & confirm (0) | 2022.11.07 |